💻 들어가며
골칫거리같던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어느정도 마무리하고 본격적으로 게시판 제작에 들어갔다
사용자가 원하는 기술스택이 있는 글을 버튼을 눌러 필터를 설정할 수 있도록 만들고 있다.
그냥 슬쩍 눈으로 보기에는 그렇게 어려워보이는 기능은 아니었지만
각 기술스택 이미지마다 클릭이 된 상태인지 클릭 되지 않은 상태인지 관리하고
조건에 맞는 게시글을 보여줘야하기 때문에 기능에 비해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
🛠️ 구현기능
API 통신 분리
멘토링 받은 내용대로 화면을 그리는 영역과 api 통신을 하는 영역을 나누어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
처음 만들때는 오히려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 아닌가 싶었는데 한 번 만들어보니
코드의 역할이 확실히 분리되니 가독성도 좋아지고 코드를 수정하기도 용이해져서 역할에 따라 분리하는 것이
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.
'Devlog(개발회고) > 수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수풀] 회원가입, jwt 로그인, 로딩, Context API (0) | 2022.10.02 |
---|---|
[수풀] 배열 map 컴포넌트, 상태관리, top 버튼 (0) | 2022.09.30 |
[수풀] context, jwt, custom hooks + 3주차 멘토링 (0) | 2022.09.28 |
[수풀] 프로젝트 레이아웃 잡기 (0) | 2022.09.26 |
[수풀] 2주차 멘토링 (0) | 2022.09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