들어가며
메인 프로젝트를 들어가며 1주마다 개발일지를 작성하려고했는데 며칠만 지나도
뭐 했는지 어떤 고민을 했는지 잊게 되는 경우가 많아 그날 바로바로 기록하는 것이 더 기억에 남고
좋은 기록을 할 수 있을 것 같아 매일매일 작성을 하기로 했다
멘토링
메인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1주일에 한 번씩 현업을 하고계신 멘토님께
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는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궁금한 점
또 취업, 개발 정보에 대한 질문을 드리고 받은 답변을 정리해봤다.
- 컴포넌트 나누는 팁
명확한 기준이 있는 건 아니지만 한 번이라도 재활용하는 컴포넌트는 분리를 할 것 - eslint 설정에 까다로운 부분이 많았는데 꼭 필요한가?
너무 많은 시간을 잡는 경우 버려라, prettier만 써도 충분함 - 객체에서 id를 new Date()로 주는 경우가 있는지?
서버에서 id를 줘야함 하면 안 되는 방법 - 취소, 확인 모달 창, alert 라이브러리 VS 직접 만들기
시간 없으면 라이브러리 사용하지만 현업에서 직접 건드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당연히 해보는 것이 좋음
윈도우 브라우저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기능은 사용하지 않는 게 좋음 - 현업에서 사용하는 상태관리 라이브러리?
redux 많이 쓰긴하는데 전역 상태 필요없을 경우에는 굳이 쓸 필요 없다
어떤 라이브러리를 쓰는게 중요하다기보다는 상태관리가 왜 필요한지 특정 라이브러리를
왜 선택했는지 근거를 잘 설명할 수 있는게 중요하다
프로젝트에서 필요한 것
시간 엄수
프로젝트에는 정해진 마감이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인지하고 시작부터
100% 완벽하게 제작하는 것보다는 70% ~ 80% 정도 빠르게 가져가고
그 후에 디테일을 챙기는 게 더 효율적인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.
기능을 구현하기 전에 어떤 라이브러리, 툴을 쓸 지 고민하는 것도 좋지만 마냥 공부만 하면서
기능 구현을 미룰 수는 없기 때문에 지금 아는 한에서 빠르게 구현을 하고
리팩토링을 하며 디테일을 챙기는 것이 기간이 정해진 개발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 같다
비즈니스에 도움되는 개발
페이지를 만들고 기능을 구현하다보면 일의 경중을 따지지 못 하고
잡히는대로 코드를 작성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.
공수는 많이 들어가지만 사용자 경험, 서비스에는 큰 효용이 없는 일에
몰두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
꼭 필수적인 기능과 부가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나누어
시간배분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.
'Devlog(개발회고) > 수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수풀] 회원가입, jwt 로그인, 로딩, Context API (0) | 2022.10.02 |
---|---|
[수풀] 배열 map 컴포넌트, 상태관리, top 버튼 (0) | 2022.09.30 |
[수풀] 필터링을 위한 배열 상태관리 (0) | 2022.09.29 |
[수풀] context, jwt, custom hooks + 3주차 멘토링 (0) | 2022.09.28 |
[수풀] 프로젝트 레이아웃 잡기 (0) | 2022.09.26 |